제본은 제책이라고도 부르며, 인쇄된 종이를 순서에 따라 모아서 읽기쉽게 책으로 엮은 것 입니다.
많은 책들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제본방식입니다.
접착제로 단단하게 고정이 되는 형태입니다.
장수가 많거나, 용지가 두꺼운 경우엔 잘 펴지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주의 : 접착제 위치를 감안하여 약 1cm 내외의 여분은 디자인할 때 감안해야합니다.
브로슈어나 카달로그 등에 많이 사용되는 제본방식입니다.
스템플러(철심)를 박아 제본합니다.
비용이 저렴하고, 펼침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한 장의 종이를 반으로 접어서 제작하기 때문에
중철의 페이지는 4의 배수 (4, 8, 12, 16, 20...) 페이지로 작업이 되어야 합니다.
페이지가 많아지면 철심이 박히지 않아, 페이지의 한계가 있다는 게 단점입니다.
노트, 스케치북, 연습장, 보충교재, 캘린더에 쓰이는 제본방식입니다.
필요 없는 부분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페이지 수에 관계없이 제작이 가능하지만
고정된 링이 훼손되거나 찌그러질 경우 페이지 넘기기가 잘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트윈링은 한 개의 구멍에 2개의 와이어가 결합됩니다.
*주의 : 링이 고정되는 위치를 감안하여 약 1cm 내외의 여분은 디자인할 때 감안해야합니다.
노트, 스케치북, 연습장, 보충교재, 캘린더에 쓰이는 제본방식입니다.
필요 없는 부분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페이지 수에 관계없이 제작이 가능하지만
고정된 링이 훼손되거나 찌그러질 경우 페이지 넘기기가 잘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낱장의 인쇄물에 타공하여 1줄 스프링을 끼워 제본하는 형식입니다. (가능 내지 2장~약 130장)
*주의 : 링이 고정되는 위치를 감안하여 약 1cm 내외의 여분은 디자인할 때 감안해야합니다.
각 장을 실로 꿰메어 제본하는 방식입니다.
제본이 완료된 형태가 아닌
추가 제본 과정(무선, 양장 등)을 거치게 됩니다.
각 장을 실로 꿰메어 제본하는 방식입니다.
누드제본은 제본면이 노출됩니다.
책등이 없기 때문에 180도로 책을 완전히 펼치기 좋습니다.
레드 프린팅은 제본 시, 제본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책등에 소량의 풀을 바릅니다.
미싱으로 제본하여 실이 선명하게 보여지는
독특한 모양의 제본 방식입니다. (가능 내지 2장~20장)
실 색상 선택 가능(빨강, 노랑, 하늘색, 초록색, 검정, 흰색)
종이와 종이를 맞대 합지하는 고급 제본방식입니다.
펼침성이 좋아 와이드한 이미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포토북, 화보집 등에 좋습니다.
© 2015-2025 Betterway Systems. All rights reserved.